-
삼강 오륜을 아시나요?생활.예절.상식 2016. 12. 15. 16:54
그렇다고 삼강오륜을 “머릿 속에 외우고 다니며
이를 실천하자”는 것도 아닙니다.
결코 도덕 교과서처럼 살아가자는 것이 아닙니다. 예로부터 그러한 덕목이 강조되어 왔고 왜 그것이 중요하며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왜 필요한지를 한번쯤 생각해 보자는 것입니다.
三 綱 (삼 강) 父 爲 子 綱 (부 위 자 강) -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근본이고.
君 爲 臣 綱 (군 위 신 강) -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근본이고.
夫 爲 婦 綱 (부 위 부 강) -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근본이다.
五 倫 (오 륜) 君 臣 有 義 (군 신 유 의) - 임금과 신하는 의가 있어야 하고.
父 子 有 親 (부 자 유 친) - 아버지와 아들은 친함이 있어야 하며.
夫 婦 有 別 (부 부 유 별) - 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어야 하며.
長 幼 有 序 (장 유 유 서) - 어른과 어린이는 차례가 있어야 하고.
朋 友 有 信 (붕 우 유 신) - 벗과 벗은 믿음이 있어야 한다.상사들이 거부하는 부하직원 유형 7가지
1.오리발형 - 지시받을 당시는 '네'라고 대답해놓고 나중에 딴소리하는 부하.
2.일단부정형 - 일단 부정부터 하고 일이 안되는 쪽으로만 가는 부하.
3.주먹구구형 - 계획성 없이 일을 추진하는 부하.
4. 우물안 개구리형 - 융통성 없이 규정에만 얽메이는 부하.
5. 하인 근성형 - 지시대로만 하되 회사발전에는 관심없는 부하.
6. 전전긍긍형 - 문제가 생겨도 말없이 있다가 나중에 허둥대는 부하.
7. 오만불손형 - 상사의 지적이 있으면 습관적인 불만부터 표시하는 부하.
안동 하회마을.
강한 자존감
강한 자존감은 당신이 전쟁에서 포로가 됐을 때 당신을 비굴해지지 않도록 해 줄 것이고 당신이 세상에맞서 싸울 때 당신의 행동에 대해 옳은 확신을 가져다 줄 것이다.
- 버트랜드 러셀 -
'생활.예절.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농지 양도소득세 100% 감면조건 (0) 2017.12.11 잘 정리된 생활상식 사전 (0) 2017.09.28 조선시대의 내명부 서열 (0) 2016.09.0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0) 2016.07.12 교수의 종류 (0) 2016.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