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욱(泰旭) 2020. 7. 4. 04:28

띄어쓰기

다른 표기 언어

툴바 메뉴

요약 띄어쓰기에는 여러 규칙이 있다.

목차접기

  1. 띄어쓰기를 바로 알자
    1. 1. 조사는 앞 말에 붙여 쓴다.
    2. 2. 의존 명사는 앞 말과 띄어 쓴다.
    3. 3.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앞 말과 띄어 쓴다.
    4. 4.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다음의 말들은 띄어 쓴다.
    5. 5.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때에는 붙여 쓸 수 있다.
    6. 6. 보조 용언은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경우에 따라 붙여 쓸 수 있다.
    7. 7. 성과 이름, 성과 호는 붙여 쓰고, 호칭어, 관직명은 띄어 쓴다.
    8. 8. 고유 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단위별로 띄어 쓸 수 있다.
    9. 9.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다.

띄어쓰기를 바로 알자

띄어쓰기에 관한 규정은 다음과 같아요. 항목이 많으니 중요한 것만 선택적으로 나열해 볼게요.

'조사’는 체언이나 부사, 어미 등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이므로 앞 말과 반드시 붙여 써야 한다.

1. 조사는 앞 말에 붙여 쓴다.

* 조사가 여러 개 겹칠 경우에도 모두 붙여 쓴다. - 집에서처럼, 학교에서만이라도
* 어미 뒤에 붙는 경우에도 붙여 쓴다. - 나가면서까지, 들어가기는커녕

2. 의존 명사는 앞 말과 띄어 쓴다.

ⓒ (주)천재교육 | BY-NC-ND

ⓒ (주)천재교육 | BY-NC-ND

3.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앞 말과 띄어 쓴다.

  차 한   금 서   소 한 마리

단 , 다음과 같은 경우는 붙여 쓸 수 있어요.
*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 : 두 삼십, 일과, 삼학년, 육
*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 : 1446 10 9, 16 502, 80, 10

4.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다음의 말들은 띄어 쓴다.

청군 백군  이사장 이사들 : 말을 이어 주는 말
책상, 걸상 이 있다 : 열거할 때 쓰는 말

5.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때에는 붙여 쓸 수 있다.

좀더 큰것 (○) 좀 더 큰 것 (○)  이말 저말 (○) 이 말 저 말 (○)  한잎 두잎 (○) 한 잎 두 잎 (○)

6. 보조 용언은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경우에 따라 붙여 쓸 수 있다.

ⓒ (주)천재교육 | BY-NC-ND

7. 성과 이름, 성과 호는 붙여 쓰고, 호칭어, 관직명은 띄어 쓴다.

이순신(이름), 이율곡(호), 채영신 씨(호칭), 최치원 선생(호칭), 이순신 장군(관직)
* 성과 이름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띄어 쓸 수 있다.
남궁억 (○) / 남궁 억 (○), 독고준 (○) / 독고 준 (○)

8. 고유 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단위별로 띄어 쓸 수 있다.

ⓒ (주)천재교육 | BY-NC-ND

9.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다.

ⓒ (주)천재교육 | BY-NC-ND

ⓒ (주)천재교육 | BY-NC-ND

ⓒ (주)천재교육 | BY-NC-ND

ⓒ (주)천재교육 | BY-NC-ND

ⓒ (주)천재교육 | BY-NC-ND

ⓒ (주)천재교육 | BY-NC-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