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욱(泰旭)
2019. 10. 29. 03:51
조회순 표제어 목록
삼매경 (三昧境) 삼매의 경지. 범어(梵語) samādhi를 음역한 것으로, 산란한 마음을 모아 움직이지 않게 하여 망념에서 벗어나는 것, 즉 한 가지 일에만.. 관포지교 (管鮑之交) 관중(管仲)과 포숙(鮑叔)의 사귐. 친구 사이의 두터운 우정을 비유하는 말이다. 제(齊)나라는 본래 주(周)나라 창건의 일등 공신 태공망(太.. 화이부동 (和而不同) 화합하지만 부화뇌동하지는 않는다. 「공자(孔子)가 말했다. “군자는 화합하지만 부화뇌동하지 않고, 소인은 부화뇌동하지만 화합하지 않는다.(子.. 홍일점 (紅一點) 붉은 점 하나. 푸른 잎 가운데 한 송이의 꽃이 피어 있다는 뜻으로, 여럿 속에서 유난히 이채를 드러내는 것이나, 많은 남자들 사이에 여자..
홍익인간 (弘益人間)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하다. 국조(國祖) 단군(檀君)의 건국이념이며, 우리나라 교육의 지표이기도 하다. 「옛날 환인(桓因)의 서자 환웅(桓..호접지몽 (胡蝶之夢) 나비가 된 꿈. 장자(莊子)가 나비가 되어 날아다닌 꿈이라는 뜻으로,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 또는 인생의 무상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 해어화 (해어지화, 解語花) 말을 알아듣는 꽃. 양귀비(楊貴妃)를 지칭하는 말이었는데, 후에는 미인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명황(明皇, 당현종(唐玄宗)) 가을.. 하도낙서 (河圖洛書) 하도(河圖)는 복희(伏羲)가 황하(黃河)에서 얻은 그림으로, 이것에 의해 복희는 《역(易)》의 팔괘(八卦)를 만들었다고 하며, 낙서(洛書)는.. 타산지석 (他山之石) 남의 산의 돌. 다른 산의 돌을 자기 산의 옥돌을 가는 데에 쓸 수 있다는 뜻으로, 남의 말이나 행동이 자신의 인격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춘추오패 (春秋五覇) 중국 춘추(春秋)시대 5인의 패자(覇者)를 일컫는 말이다. 주(周)나라 초대 왕인 무왕(武王)은 왕실을 견고하게 하고 통치를 강화하기 위하여.. 점입가경 (漸入佳境) 갈수록 아름다운 경치로 들어가다. 일이 점점 더 재미있는 상황으로 변해 가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고개지(顧愷之)는 동진(東晉) 시대의 화.. 절차탁마 (切磋琢磨) 끊고 갈고 쪼고 갈다. 학문이나 덕행을 갈고 닦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기수(淇水)라 저 물구비 푸른 대 우거졌네 어여쁘신 우리 임은 뼈와.. 자가당착 (自家撞著) 스스로 부딪치다. 자기가 한 말이 앞뒤가 맞지 않거나, 언행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수미산은 높아 봉우리도 보이지 않고 바닷물은 깊어.. 일이관지 (一以貫之) 하나로써 그것을 꿰뚫다. 처음부터 끝까지 변하지 않거나, 끝까지 밀고 나가는 것을 말한다. 之는 대명사로 ‘그것’을 가리킨다. 「공자(孔子).. 온고지신 (溫故知新) 옛것을 익히고 새것을 알다. 「옛것을 익히고 새것을 알면 남의 스승이 될 수 있다.(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논어(論語) 〈위정(爲政).. 오합지졸 (烏合之卒) 까마귀를 모아 놓은(것 같은) 병사. 까마귀 떼와 같이 조직도 안 되고 훈련도 없이 모인 무리라는 뜻으로, 어중이떠중이를 비유하는 말이다... 오리무중 (五里霧中) 오리 안이 짙은 안개 속에 있다. 어떤 일의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거나 일의 갈피를 잡기 어려운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후한(後漢) 때의 학자.. 신언서판 (身言書判) 풍채와 언변과 문장력과 판단력. 선비가 지녀야 할 네 가지 미덕을 말한다. 이는 원래 당(唐)나라 때 관리를 선발하던 기준이었다. 「무릇 사.. 수주대토 (守株待兎)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리다. 고지식하고 융통성이 없어 구습과 전례만 고집하거나, 노력하지 않고 요행만을 기대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