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라지 재배 방법
1. 특성
도라지는 초롱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곧은 뿌리 비대형으로써 줄기는 40~100cm까지 자라며 잎은 긴 계란형이다.
꽃은 자주색, 흰색, 분홍색으로 꽃잎은 별모양의 홑잎 또는 겹잎 등 품종이 다양하다. 꽃대는 6~8월에 나와 꽃을 피우고, 9월 상순에 종자가 결실되며, 종자색은 검은색으로 윤이 난다.
2. 재배 환경
햇빛이 잘 드는 곳으로 물 빠짐이 좋고 땅이 기름지며 모래가 약간 섞인 참흙에서 잘 자란다. 그러나 거친 모래나 자갈이 많은 토양, 가뭄이 잘 타는 토양에서는 잔뿌리가 많이 발생한다.
3. 재배 기술
가. 종자 준비 및 파종 시기
10a당 종자는 3~4ℓ를 준비하여야 하며, 파종기는 봄은 3~5월, 가을은 10~11월이 적기이나 가을 파종 시에는 싹이 트지 않고 겨울을 넘길 수 있도록 늦게 파종하는 것이 안전하다.
그러나 가을에 비가 잦고 기온이 높은 해에는 파종 후 7일 만에 발아하여 겨울동안 얼어 죽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나. 파종 방법
종자의 수명이 1년 정도 되어 묵은 종자는 발아력이 떨어지므로 가급적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파종 전에 모래나 젖은 톱밥을 종자량의 3~4배 혼합하여 균일하게 파종토록 한다.
파종할 두둑은 관리에 편하게 두둑 폭을 90~120cm로 만들고 76~90cm의 줄뿌림을 하거나 전 밭에 흩어 뿌림을 하고 종자의 3~4배 두께로 얕게 흙을 덮은 다음 그 위에 짚을 깔아주어 토양수분을 유지케 하여 싹이 트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옮겨심기 재배는 본밭 10a당 30~40평의 모판에 1.2~1.5ℓ의 종자를 뿌려 1년간 모를 키워서 옮겨 심는 노력이 많이 들고 품질이 떨어지므로 직파재배를 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다. 거름주기
밑거름은 밭갈이 전에 전량을 고루 흩어 뿌리고 로타리를 한 다음 밭두둑을 만들어 파종하며, 종자는 파종상을 만든 후 7~15일 후에 파종하여 비료의 피해가 없도록 한다.
웃거름은 6월 하순경 꽃대가 거의 생긴 후와 장마가 끝나는 7월 상순에 주도록 한다.
※ 비료 주는 양은 토양비옥도에 따라 줄이거나 늘려주도록 한다.
라. 본밭 관리
직파재배의 경우 토양수분이 충분하면 늦어도 5월 상순경에 싹이 튼다. 본 잎이 3~4매 되었을 때 사방 4~6cm간격으로 솎아주되 비가 충분히 온 후 땅이 습할 때 솎음질을 하면 뿌리줄기가 끊어지지 않고 쉽게 솎을 수 있다.
김매기는 도라지 재배 시 가장 노력이 많이 드는 작업이다. 따라서 첫 번째 김매기는 6월 상순까지, 두 번째는 7월 상순까지 마치는 것이 뿌리의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으나 잡초가 크게 자라기 전에 실시하여야 어린모의 피해가 적다.
김매기 노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파종 후 3일 이내에 파미드수화제(데브리놀)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데 제초제를 이용할 때는 모판을 고르게 하고 흙덮기를 균일하게 하는 작업을 하여야 약해를 줄이고 약효를 높일 수 있다.
도라지 제초제 처리 효과
도라지의 뿌리는 봄부터 꽃망울이 생기기까지 계속 자라다가 꽃이 피기 전부터 종자가 익을 때 까지는 더디게 크는 것을 볼 때 개화 결실에 상당한 영양이 소모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뿌리 굵기를 촉진하기 위해서 꽃대 잘라주기를 6월 중순경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6월 중순 이전에 꽃대를 잘라주면 다시 또 꽃대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너무 일찍 잘라주지 않도록 한다.
마. 병해충 방제
병해로는 줄기마름병, 뿌리썩음병, 흰가루병 등이 발생되는데 물을 잘 빠지게 해주고 통풍이 잘되게 하면 예방할 수 있다.
해충으로는 진딧물과 담배나방 등이 발생하는데 이때는 발생초기에 진딧물 약을 1,000배액으로 뿌려주도록 한다.
바. 수확 및 건조 제조
파종 후 2~3년이 지나서 뿌리무게가 25g 이상이 될 때 부터를 수확시기로 보면 된다.
그러나 식용으로 할 때는 가을에 캐서 간이움 저장을 해두고 시장시세에 따라 가장 값이 좋을 때 출하토록하고, 약용으로 쓸 때는 저장양분이 가장 많은 가을철에 가급적 4년근 이상을 수확하여야 우수한 품질의 건재약재로 쓸 수 있다.
약용으로 쓸 때는 수확한 도라지를 물에 깨끗이 씻어 겉껍질을 대칼로 벗겨 말린 것을 백길경이라 하고, 캐낸 뿌리를 껍질 채 말린 것을 피길경이라 하는데 수출은 백길경을 주로 한다.
건조 시에는 처음 30분간은 90℃로 올려 효소활동을 정지시킨 다음 60~70℃에서 완전 건조시키면 좋은 품질의 갈경근이 된다.
10a당 수량성은 생도라지의 경우 2~3년근에서 2,000~3,000kg을 생산할 수 있고, 이것을 건조시키면 생도라지의 20% 정도인 400~600kg의 마른 도라지를 생산할 수 있다.
기타 특수 재배법
가. 꺾꽃이형 꽃 재배
도라지 꽃은 흰색, 보라색, 분홍색 등 꽃 색과 꽃모양이 다양하며 어느 품종이든 청초하고 깨끗한 인상을 주어 꺾꽃이용으로 이용 가능성이 높다.
재배 방법으로는 가을재배 겨울재배 봄재배 등으로 구분되며 도라지 꽃은 일장보다 온도에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겨울동안 최저15℃ 이상만 되면 충분히 개화될 수 있다.
나. 화분 재배
도라지 뿌리를 화분에 옮겨 심은 뒤 적당한 시기에 순치기를 하면 많은 꽃을 일시에 피울 수 있으며 특히 가을, 겨울, 봄철에 꽃이 핀다면 이용가치가 한층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재배법은 뿌리를 봄 싹트기 전에 캐서 0℃ ~ 1℃ 정도의 저온저장고에 보관했다가 꽃피는 시기를 계산해서 60일 전에 꺼내서 화분에 2 ~ 4 뿌리를 정식하고 재배하면 목표한 개화시기에 꽃을 볼 수 있다. 이때 주의할 것은 충분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온도가 낮으면 꽃이 작아지고 꽃이 화려하지 않아진다.
전직 스포츠 전문 언론 기자 출신인 오룡도사입니다. 오룡도사와 함께하는 취미생활 함께하기 블로그와 스포츠 귀농귀촌 관련 카페 40여개에서 활동하면서 지식을 쌓고 있습니다. 프로야구,볼링,골프,복싱,농사와 관련된 각종 정보는 물론이고 카페 궁금점 등을 속 시원히 알려드립니다. 관심토픽은 구기스포츠,야구,스포츠,골프,농업,텃밭,카페,생활상식 등 입니다.
보통 도라지는 심어서 3년은 돼야 수확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텃밭에서 재배하는 것은 출하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시겠지요..
식용으로 드실려면 1년생부터 드실 수 있습니다.(4월 씨뿌리고 그해 10월이면 보통 15센티는 자랍니다.)
이랑을 만들고 도라지씨를 뿌리면 됩니다.
한꺼번에 드시지 않고 키우다보면 앞에서 부터 파드시고 또 씨를 따서 거름하고
파드신 부분에 뿌려두면 거의 처믐 심은 것은 10년이상은 돼서...좋습니다..
예전에 20년 이상되면 산삼못지않다고 어르신들이 말씀하시던 것이 기억납니다..^^
토양은 어떤 토양에서건 잘 자랍니다.
밭의 한쪽 일부만 도라지 밭으로 만들어 주시는 것도 아주 좋겠네요..
종자는 종묘사마다 다 있습니다...
한번 심으시면 씨앗은 계속 자급자족이 됩니다.^^
한군데 계속 몇 년씩 자라기 때문에 잡초제거에 신경써주셔야 됩니다.
이랑도 잡초제거하기 좋게 조금 넓게하시면 좋습니다...
비교적 키가 크기때문에 이랑사이에 다른 작물을 키우지 않으시는게 좋구요.
병충해는 비교적 없는 편입니다. 토종 산도라지를 구하실 수 있으면 더욱 좋겠지요..
건강도 생각하시면서......사시는 곳에서 조금 주위에 살펴보시면
산도라지 재배하시는 농가도 의외로 많습니다.
시골 어른들이 한약재겸 식용으로 쓰기위해 보통 작은 밭하나를 오랫동안 재배하고 계십니다.^^
씨앗을 한줌만 얻으면 엄청 넓게 심으실 수 있습니다.^^
텃밭 활용 잘 하시기 바랍니다.^^